퍼블릭 프로그램

《오프사이트 2: 열한 가지 에피소드》 아티스트 토크

2025. 8. 29. – 10. 17.

(투게더)(투게더), 국제갤러리 K2

《오프사이트 2: 열한 가지 에피소드》 아티스트 토크

《오프사이트 2: 열한 가지 에피소드》 참여 작가들의 작업 세계를 깊이 있게 들여다볼 수 있는 아티스트 토크가 열립니다. 성 정체성과 사회적 규범에 대한 각자의 경험과 시선을 바탕으로, 익숙한 제도와 언어, 표현 방식에 의문을 제기해온 작가들의 실천 방식을 함께 살펴봅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랍니다.

*본 프로그램은 한국어로 진행됩니다.

세부 일정 및 장소
아티스트 토크: 윤희주
– 일시: 8. 29. (금) 16:00
 – 장소: (투게더)(투게더)

아티스트 토크: 문상훈, 한솔
– 일시: 9. 12. (금) 16:00
– 장소: 국제갤러리 K2 1층

아티스트 토크: 홍지영, 성재윤
– 일시: 9. 19. (금) 16:00
– 장소: 국제갤러리 K2 2층

아티스트 토크: 곽소진
– 일시: 9. 26. (금) 16:00
– 장소: 국제갤러리 K2 1층

아티스트 토크: 조현진
– 일시: 10. 17. (금) 16:00
– 장소: 국제갤러리 K2 1층

작가소개
윤희주(b. 1997)

윤희주는 영화, 비디오 등 무빙 이미지를 다룬다. 디지털 공간 속에 존재하는 페르소나가 정치적인 힘을 발현하는 순간에 주목한다. 개인전으로《서울 천사의 시》(카다로그, 2025), 《실리 힐리 밀키 쇼》(조응, 2023)를 개최했으며, 참여한 주요 단체전으로 뮤지엄헤드(2024)가 있다.

문상훈(b. 1988)
문상훈은 경계에 관해 질문하며, 소수자의 목소리와 실패의 감각, 사라지고 있는 것의 정서를 연결하는 작업을 한다. 개인전 《No Future》(공간일리, 2021), 《넌 이 전시를 못 보겠지만》(연무지개x오손도손, 2020), 《우리는 끝없이 불화할 것이다》(킵인터치, 2019)를 열었다. 서울시립미술아카이브(2024), 합정지구(2019) 등 단체전에 참여했다. 《이태원 트랜스젠더-클럽 2F》(두산아트센터, 2025)를 연출했다.

한솔(b. 1989)
한솔은 자전적 소수자성, 즉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소수자 정체성과 관련된 문제들을 장소 특정적 퍼포먼스와 영상 작업으로 표현한다. 아마추어 미술가, 레즈비언 부치, 음지의 성매매, 프레카리아트로서의 삶 등을 주제로 다뤄왔다. 개인전으로 《Starry starry night》(쇼앤텔, 2020), 《There’s always tomorrow》(플레이스막 레이저, 2019)를 개최했으며, 참여한 주요 단체전으로 합정지구(2024, 2018), 플랫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갤러리(2022), 뮤지엄헤드(2022), 일민미술관(2020), W스테이지 제주(2020), UCLA New Wight International Biennial(2018) 등이 있다. 이태원 트랜스젠더, 성노동 역사 아카이빙 프로젝트 ‘이무기’의 팀원이다.

홍지영(b.1998)
홍지영은 사진을 주요 매체로 활동하며, 신체를 기반으로 퀴어, 폭력, 섹슈얼리티를 연구한다. 보이지 않지만 실재하는 것들을 위해 사진을 찍고 글을 쓴다. 『물의 시간들』(2022)을 출간했으며, W/O F.의 소속 작가로 기획을 맡고 있다. 뮤지엄헤드(2024), 프리즈 서울 라이브(2024) 등에 참여했다.

성재윤(b. 1999)
성재윤은 사진을 주요 매체로 개인의 삶을 기록하고 서사로 엮는다. 현재 스스로의 젠더 정체성을 탐구하며 트렌스젠더의 신체, 욕망, 역사에 관해 작업한다. 개인전 《석응》(와이아트 갤러리, 2024)을 열었으며, 단체전 초이앤초이 갤러리(2024), 홍대 미성장 모텔(2023)에 참여했다. 저서로 『성탄의 초상』(2021)이 있다. W/O F.의 소속 작가이며, 이태원 트랜스젠더, 성노동 역사 아카이빙 프로젝트 ‘이무기’의 팀원이다.

곽소진(b. 1993)
곽소진은 영상, 퍼포먼스, 조각, 설치 등 다양한 매체로 작업한다. 작가는 촬영자의 몸과 카메라라는 장치, 촬영 대상과 장소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만들어 내는 상호작용적이고 행위 중심적인 작업에 주목한다. 개인전으로 《Cloud to Ground》(리플레이스 한남, 2025), 《오-마이-갓-이-건-끔찍해-제발-멈추지-마세요 (문래예술공장, 2022), 《검은새 검은색》(TINC, 2021), 《도끼와 모조머리들》(인사미술공간, 2020)을 개최하였으며, 단체전 부산현대미술관(2025), 옵/신포커스(2024), 프리즈 필름(2023) 등에 참여했다. 2024년 시슬리 젊은 작가상을 수상했다.

조현진(b. 2000)
조현진은 퍼포먼스와 조각을 주 매체로 다루며, 해체와 결합이 유연한 조각과 퍼포먼스 무대를 통해 가변적인 몸과 공간을 탐구한다. 혼종의 상태에 관심을 두며 그것을 자신의 전략으로 삼는 존재들에 주목한다. 퍼포먼스 《밤짐승 놀이패》(윈드밀, 2025)를 공동 제작·연출하였으며, 단체전 《부트캠프》(윈드밀, 2022)에 참여한 바 있다.

기간
2025. 8. 29. – 10. 17.
장소
(투게더)(투게더), 국제갤러리 K2
발표자
윤희주, 한솔, 문상훈, 홍지영, 성재윤, 곽소진, 조현진
인원

회당 선착순 40명

참가비

무료

신청 방법

네이버 스마트플레이스를 통해 신청
(아래의 ‘신청하기’ 링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