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블릭 프로그램
독서 클럽: 예술가의 글
2019. 1. 3, 1. 10, 1. 17, 1. 24, 17:00 -19:00
아트선재 1층 프로젝트 스페이스
독서 클럽: 예술가의 글
(미술) 작가는 (글로) 무엇을 말해야 하고 무엇을 말하지 않아야 하나?
작가가 쓴 글은 큐레이터나 평론가, 혹은 딜러가 쓴 글과 어떻게 다른가?
작가가 쓴 글은 작품일 수 있는가?
작가에게 글은 어떤 용도인가?
작가의 글은 작가의 작업세계와 어떤 관계를 맺는가?
작가의 글은 작가 혹은 작품을 닮는가?
이 프로그램에서는 작가의 통찰/스테이트먼트/작품으로서의 책/이미지와 텍스트라는 네 개의 주제어로 분류한 서로 다른 성격의 글을 읽으며 작가의 글쓰기를 곱씹고 상상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작가가 쓴 글이 큐레이터나 평론가가 쓴 글과 어떻게 다른지, 작가가 쓴 글은 작가의 작업 세계와 어떤 관계를 맺는지, 또한 어떤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지 등, 작가의 글에 대한 다양한 의문과 시각을 공유하고 이야기를 나눕니다.
* 시간표
2019.1.3
작가의 통찰
백남준, 「임의접속정보」, 『말에서 크리스토까지』2010. 임왕준 외 옮김, 백남준아트센터 (pp.173-182)
앨런 세큘라, 「몸과 아카이브」, 리처드 볼턴 엮음, 『의미의 경쟁』, 2001 김우룡 옮김, 눈빛 (pp.391-431)
2019.1.10
스테이트먼트
솔 르윗, 『개념미술에 관한 문단들』, 1967
솔 르윗, 『개념미술에 관한 문장들』, 1969
이본느 라이너, 『스테이트먼트』,1968
박찬경, 「어떤 산」, 『저널 볼 008』, 2008, 강미란 외 옮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
2019.1.17
작품으로서의 책
세스 프라이스, 『확산』, 2002-, 미디어버스
(온라인에서 pdf 다운로드 가능, http://www.distributedhistory.com/Disperzone.html)
김범, 『고향』, 1998
2019.1.24
이미지와 텍스트
제 4장 「오감」, 크리스 마커, 『북녘 사람들』, 2008. 김무경 옮김. 눈빛 (pp.66-78)
앨런 세큘라, 「바다의 운」, 『저널 볼 003』. 2006. 길예경 외 옮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 (pp.159-183)
(세큘라의 2006년 동명 영상 작업을 인쇄한 것; 책에 인쇄된 부분인 20분 분량의 영상을 보면서 책을 읽습니다.https://vimeo.com/100348109)
>>프로그램 신청하기
* 본 프로그램은 선착순 20명으로 마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