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블릭 프로그램
국제 학술회의: 한반도 평화공존과 지역의 역할 – 경기도와 세계의 접경지역
2016. 11. 10.-2016. 11. 11.
아트선재센터 B1 아트홀
국제 학술회의: 한반도 평화공존과 지역의 역할 – 경기도와 세계의 접경지역
* 한-영 통역
일정
2016.11.10(목), 9:30-18:00
10:20-10:50 Pre-Session Talk: 경계넘기, 평화, 탈분단
질리언 와일리(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아일랜드), 이종원(와세다대, 일본), 이우영(북한대학원대, 대한민국), 최완규(신한대, 대한민국)
11:00-12:00 기조강연: 상호공존, 그리고 경계 넘기의 중재자들
캐롤라인 험프리(케임브리지대, 영국)
13:30-15:30 세션1부: 분단과 경계의 비판지리학
사회자: 질리언 와일리(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아일랜드)
1. 니콜라이 토이플(바이로이트 대학교, 독일)
“역사의 상처에서 새로운 유럽의 실험장으로: 독일-폴란드 사례로 보는 두 개의 한국”
2. 박배균(서울대, 대한민국)
“동아시아 접경지역 경제특구와 영토화와 탈영토화의 공간정치”
3. 지상현(경희대, 대한민국)
“경계, 접경지대, 변경: 한반도 한계공간의 가능성과 현실”
토론자: 최용환(경기연구원, 대한민국), 시우 진위(국립타이완대, 대만), 도진순(창원대, 대한민국)
16:00-18:00 세션2부: 경계의 중층성: 지리적 불가분성과 정치적 불안
사회자: 박명규(서울대, 대한민국)
1. 프랑크 비예(캘리포니아대 버클리 캠퍼스, 미국)
“샴 쌍둥이 국가: 경계상 분리와 합체성에 대한 문제”
2. 박현귀(케임브리지대, 영국)
“금지된 경계구역의 생태공간: DMZ와 러시아극동지역의 안보와 자연”
3. 나탈리아 뤼조바(연방극동대, 러시아)
“접근제한된 경계구역: 러시아 대중문화에 표상된 안보”
토론자: 남영호(신한대, 대한민국), 이언 왓슨(아주대, 대한민국), 정재원(국민대, 대한민국)
2016.11.11(금), 9:30-18:00
10:00-12:00 세션3부: 아일랜드 평화프로세스와 한반도
사회자: 라종일(가천대, 대한민국)
1. 질리언 와일리(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아일랜드)
“유럽에서 경계의 안보화”
2. 데이비드 미첼(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벨파스트캠퍼스, 영국)
“고질적 갈등에서 평화조성의 지구적 모델로: 북아일랜드 평화프로세스 사례”
3. 김동진(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아일랜드)
“평화 프로세스의 지속가능성: 북아일랜드와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비교연구”
토론자: 구갑우(북한대학원대, 대한민국), 김정노(통일부, 대한민국), 브렌던 호이(이화여대, 대한민국)
13:30-15:30 세션4부: 경계 위의 예술, 경계를 넘는 시선
사회자: 김선정(리얼 디엠지 프로젝트/아트선재센터, 대한민국)
1. 마그누스 뱃토스(콘스트팍 예술대, 스웨덴)
“충돌하는 서사, 공통적인 재현: 재현의 전지로서의 디오라마”
2. 박경(캘리포니아대 샌디에이고 캠퍼스, 미국)
“경계, 영토가 되어가다: 한반도 통일에서”
3. 제인 진 카이젠(덴마크 왕립예술아카데미, 덴마크)
“다른 방식으로 번역하기: 틈새 / 망령 / 균열로서의 경계”
토론: 한금현(상지대, 대한민국), 김남시(이화여대, 대한민국), 벤자민 주아노(홍익대, 대한민국)
16:00-18:00 세션5부: 접경지역의 역동성과 평화공존: 경기도와 세계
사회자: 이종원(와세다대, 일본)
1. 치요 와카바야시(오키나와대, 일본)
“토지 수탈과 고통받는 공동체: 전후 오키나와 이사하마 투쟁”
2. 서정민(연세대, 대한민국)
“강원도 고성에서 바라본 분단과 경계, 통일의 지역성”
3. 김동성(경기연구원, 대한민국)
“남북교류협력과 경기도 지방정부의 역할”
토론자: 진필수(서울대, 대한민국), 데이비드 미첼(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벨파스트캠퍼스, 영국), 김성경(북한대학원대, 대한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