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블릭 프로그램

국제 학술회의: 한반도 평화공존과 지역의 역할 – 경기도와 세계의 접경지역

2016. 11. 10. (목) – 2016. 11. 11. (금)

아트홀(B1)

국제 학술회의: 한반도 평화공존과 지역의 역할 – 경기도와 세계의 접경지역

아트선재센터는 11월 10일과 11일 양일간 경기도와 신한대학교가 공동주최하는 국제학술회의를 아트선재센터 아트홀에서 개최한다. ‘한반도 평화공존과 지역의 역할: 경기도와 세계의 접경지역’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학술회의는 접경지역의 재조명을 통해 남북 사이의 적대적 갈등을 평화적 공존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이다. 접경지역은 단절과 교류, 통제와 생성이라는 양면성이 일상에서 경험되고 실천되는 최전선의 공간이다. 분단 이래 한반도에서 긴장상태가 지속되면서, 경계를 단지 갈등과 충돌의 현장만으로 인식해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전지구적으로 시야를 넓히거나 한반도 접경지대의 구체적 현실로 눈을 돌리면, 경계의 긍정성과 역동성이 현실의 또 다른 한 축을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올해 컨퍼런스를 통해 지난해보다 더욱 깊은 통찰과 다양한 사례들로 한반도의 현실적 평화공존을 모색할 수 있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

일정
2016. 11. 10. (목) 9:30-18:00
10:20 – 10:50 Pre-Session Talk: 경계넘기, 평화, 탈분단
질리언 와일리(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아일랜드), 이종원(와세다대, 일본), 이우영(북한대학원대, 대한민국), 최완규(신한대, 대한민국)

11:00 – 12:00 기조강연: 상호공존, 그리고 경계 넘기의 중재자들
캐롤라인 험프리(케임브리지대, 영국)

13:30 – 15:30 세션1부: 분단과 경계의 비판지리학
사회자: 질리언 와일리(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아일랜드)
1. 니콜라이 토이플(바이로이트 대학교, 독일)
“역사의 상처에서 새로운 유럽의 실험장으로: 독일-폴란드 사례로 보는 두 개의 한국”
2. 박배균(서울대, 대한민국)
“동아시아 접경지역 경제특구와 영토화와 탈영토화의 공간정치”
3. 지상현(경희대, 대한민국)
“경계, 접경지대, 변경: 한반도 한계공간의 가능성과 현실”
토론자: 최용환(경기연구원, 대한민국), 시우 진위(국립타이완대, 대만), 도진순(창원대, 대한민국)

16:00 – 18:00 세션2부: 경계의 중층성: 지리적 불가분성과 정치적 불안
사회자: 박명규(서울대, 대한민국)
1. 프랑크 비예(캘리포니아대 버클리 캠퍼스, 미국)
“샴 쌍둥이 국가: 경계상 분리와 합체성에 대한 문제”
2. 박현귀(케임브리지대, 영국)
“금지된 경계구역의 생태공간: DMZ와 러시아극동지역의 안보와 자연”
3. 나탈리아 뤼조바(연방극동대, 러시아)
“접근제한된 경계구역: 러시아 대중문화에 표상된 안보”
토론자: 남영호(신한대, 대한민국), 이언 왓슨(아주대, 대한민국), 정재원(국민대, 대한민국)

2016. 11. 11. (금) 9:30-18:00
10:00 – 12:00 세션3부: 아일랜드 평화프로세스와 한반도
사회자: 라종일(가천대, 대한민국)
1. 질리언 와일리(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아일랜드)
“유럽에서 경계의 안보화”
2. 데이비드 미첼(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벨파스트캠퍼스, 영국)
“고질적 갈등에서 평화조성의 지구적 모델로: 북아일랜드 평화프로세스 사례”
3. 김동진(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아일랜드)
“평화 프로세스의 지속가능성: 북아일랜드와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비교연구”
토론자: 구갑우(북한대학원대, 대한민국), 김정노(통일부, 대한민국), 브렌던 호이(이화여대, 대한민국)

13:30 – 15:30 세션4부: 경계 위의 예술, 경계를 넘는 시선
사회자: 김선정(리얼 디엠지 프로젝트/아트선재센터, 대한민국)
1. 마그누스 뱃토스(콘스트팍 예술대, 스웨덴)
“충돌하는 서사, 공통적인 재현: 재현의 전지로서의 디오라마”
2. 박경(캘리포니아대 샌디에이고 캠퍼스, 미국)
“경계, 영토가 되어가다: 한반도 통일에서”
3. 제인 진 카이젠(덴마크 왕립예술아카데미, 덴마크)
“다른 방식으로 번역하기: 틈새 / 망령 / 균열로서의 경계”
토론: 한금현(상지대, 대한민국), 김남시(이화여대, 대한민국), 벤자민 주아노(홍익대, 대한민국)

16:00 – 18:00 세션5부: 접경지역의 역동성과 평화공존: 경기도와 세계
사회자: 이종원(와세다대, 일본)
1. 치요 와카바야시(오키나와대, 일본)
“토지 수탈과 고통받는 공동체: 전후 오키나와 이사하마 투쟁”
2. 서정민(연세대, 대한민국)
“강원도 고성에서 바라본 분단과 경계, 통일의 지역성”
3. 김동성(경기연구원, 대한민국)
“남북교류협력과 경기도 지방정부의 역할”
토론자: 진필수(서울대, 대한민국), 데이비드 미첼(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벨파스트캠퍼스, 영국), 김성경(북한대학원대, 대한민국)

기간
2016. 11. 10. (목) - 2016. 11. 11. (금)
장소
아트홀(B1)
주최
경기도, 신한대학교
주관
신한대학교 탈분단경계문화연구원, 아트선재센터 리얼디엠지프로젝트, 케임브리지대학교 몽골•중앙아시아연구소, 트리니티칼리지 평화학대학원
후원
한겨례신문

* 한-영 통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