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아트선재 프로젝트 #5: 최찬숙 – 리-무브
2017. 9. 1. – 9. 24.
아트선재센터 프로젝트 스페이스
2017 아트선재 프로젝트 #5: 최찬숙 – 리-무브
아트선재센터는 2017년 9월 1일부터 9월 24일까지 아트선재 프로젝트 스페이스에서 《2017 아트선재 프로젝트 #5: 최찬숙- Re-move (리-무브)》를 개최한다.
“사람들은 대부분 타인이다”라는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의 말처럼 ‘리-무브Re-move’ 전시는 독보적인 정체성이라는 환영을 유지하지 않으며 ‘순수한’ 문화라는 개념을 해체하고 혼성화(hybridization)하고 있다. 최찬숙 작가가 다시 도착하는 그 장소에서 다루고 있는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 해방 직전 일본에 파견된 조선인노동자와 일본에서 결혼하고 한국으로 이주해 온 일본인 친할머니, 그리고 한반도 비무장지대(DMZ)의 민북마을로 이주한 ‘양지리’ 할머니 등은 지배적인 정체성의 마력에 호소하는 형식과 거리를 취하지만, 동시에 ‘피해자로서’ 선동되는 집단의 정체성 또한 거부하고 있다. 에두아르드 글리상(Edouard Glissant)은 카리브의 흑인노예들의 ‘흑인성’을 보편성으로 연결하는 ‘우회(le Retour)’에 대해 설명하며 ‘다른 곳에 가서야 자신들의 차이를 각성하기, 그리하여 다시 떠나기-돌아오기’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 적이 있다.
“우리는 그 장소로 돌아가야 한다. 우회(le Retour)는 다시 귀환을 통해 이곳을 수태시키는 한에서만 유용한 전략이다. 기원의 꿈을 향한, 존재의 불변하는 동일자를 향한 회귀가 아니라, 어쩔 수 없이 등을 돌려야 했던 착잡한 뒤얽힘의 지점으로의 귀환. 바로 이 곳에서 마침내 관계의 구성요소들을 구현하거나 아니면 사라지거나”
최찬숙의 ‘재이주Re-move’는 정체성이라는, 운명이라는 환영의 단일성을 버리는(remove) 동시에 정체성이라는, 운명이라는 환영속에서 유지되는 세계의 갈등과 만행들을 인식론적인 방편이 아닌, 예술적 연구(Artistic Research)를 통해 드러내고 있다. 그녀는 거대서사(HIS-story)에서 말소(removed)되거나 지반을 잃은 여성들을 통해 계급, 젠더, 직업, 언어, 정치, 도덕 등 인간이 가진 다른 정체성들과 가치는 무시되고 있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과연 종교나 문화, 국적에 따라 독보적으로 범주화할 수 있다는 정체성이라는 추정은 유효한 것인가?
전시 연계 프로그램
최찬숙 <Re-move> 전시 연계 1:3 아티스트 토크
2017.09.12 화요일 – 09.17 일요일 (2017.09.15 금요일 제외) 4 pm
아트선재 프로젝트 스페이스
작가 소개
최찬숙(b.1977)
최찬숙은 베를린 예술 대학교 (University der Künste in Berlin)에서 비주얼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아트를 복수 전공하고, 마이스터 과정을 졸업하였다. 2008년 비블리아트와 페르가몬 미술관이 주최한 국제 미디어 아트 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하고 2009 년 베를린시의 신진 작가 지원 프로그램인 나푀그(Nafog) 프로젝트 지원 작가로 연이어 선정되었다. 국내에서는 2010년 서울문화재단의 젊은 예술가지원프로그램(NArT)에 선정되어 을 통해 국내 관객과의 첫 만남을 가졌다. 이후성곡미술관<내일의작가>(2012년),갤러리루프의신진작가상(2015년),서울시립미술관신진작가프로그램(2017년)등에선정되었고,서울국립극장국가브랜드공연,뉴욕퀸스뮤지움,사천갤럭시현대미술관,리얼 디엠지프로젝트, 베를린 그림미술관 등 에서 인간의 기억을 매개로 한 정신적 이주에 관한 서사학적(narratology) 실험을 다학제적 방법론을 통해 재현하고 있다.
아트선재 프로젝트 스페이스 소개
‘아트선재 프로젝트 스페이스’는 임시적이고 자유로운 예술적 시도를 위한 플랫폼으로서 아트선재센터 1층 공간을 재정비하여 2014년 하반기에 새롭게 시작되었다. 미술관의 열린 공간에서 진행되는 프로젝트라는 특성을 더욱 강화하는 한편, 전시뿐 아니라 토크와 워크숍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더욱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2017년에는 멜빈 모티를 시작으로 강상빈, 강상우, 윌리 도허티, 이원우, 최찬숙, 최윤, HIAP, 전용석 작가 등의 프로젝트가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