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전시

포인트 카운터 포인트

2018. 3. 3 – 4. 8.

포인트 카운터 포인트

포인트 카운터 포인트 – 공간의 대위법

점이 맺힌다. 빈 도화지 위에 첫 번째 붓 자국이 닿고, 펜촉이 모눈의 도면 위에 만나며, 화면 속의 커서가 처음 클릭하는 순간처럼. 규격의 각목이 전시장의 바닥에 놓이고, 한 줄의 철사가 천정에 묶인 매듭이 하나의 점이 되면 이로부터 파생된 관계들이 작품을 구축한다. 점들은 선으로 이어져 공간을 가르고, 선은 여러 겹으로 쌓여 부피를 만들면서 형태를 이룬다. 이렇게 연결된 점들을 줌 아웃하여 바라보면 이는 또한 입장(position)으로 읽힌다. 이 입장은 공간에 대응하고, 이웃한 다른 작업에 대응하며, 층을 달리하는 다른 작업에 대응하고 무엇보다 작품을 응시하는 관객에 대응한다.
《포인트 카운터 포인트》의 다섯 명의 참여작가 김동희, 김민애, 오종, 이수성, 최고은은 아트선재센터 2, 3층 전시장의 공간 형태와 맥락을 조형의 재료이자 출발점으로 삼아 작업을 전개한다. 작가들은 전시장의 형태에 반응하거나, 건축의 구성 요소와 재료를 참조하여 사용하고, 시점, 거리, 크기의 변화를 통해 공간에 대한 인지에 반전을 시도하는 등 공간에 대응하는 각자의 관점에 기반을 둔 다양한 조형적 시도를 보여준다.
형체와 질량을 가진 조각에 있어 공간은 기본조건이다. 공간은 이 매체에 있어 공기 같은 것이라, 여기에 주목한다는 것은 당연하고 새삼스러운 것일는지 모른다. 화이트큐브가 하나의 규범이 된 현재의 전시장의 모습이 형성되고, 조각이 좌대에서 내려와 자리를 잡으면서 공간은 단지 작업의 배경이 아니라 작업의 내용과 형식을 구성하는 요소가 된 것은 이미 오래된 일이다. 그러나 현재 활발히 작업을 전개하는 30대의 작가들 사이에서 작업과 공간과의 관계를 더욱 거시적으로 확장한 시도들을 발견할 수 있다. 이 전시는 최근의 조각, 설치에 있어 공간에 대해 적극적인 반응과 해석을 보여온 작가들을 초대하여, 이들이 어떤 관점으로 공간과 조형의 관계를 다시 묻고 또 새로운 시도를 전개하는지를 소개한다. 이들은 작업이 놓이는 공간이 작업과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가를 넘어서 작업이 공간에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지, 외형으로는 보이지 않는 공간의 맥락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특정 장소가 조각과 설치의 형태와 성격을 어떻게 결정하고, 또한 반대로 조각과 설치가 공간의 형태와 성격을 어떻게 변형시키는지에 주목한다. 이러한 다양한 관점들에서 파생된 작업은 목재, 유리 등 실내외 건축의 재료를 주로 사용하고, 그 형태는 미술 작품과 건축의 일부분 그리고 기능을 가진 사물의 사이에 위치한다. 공간의 외부에서 발생한 사건을 제시하지 않고 이야기가 발생할만한 구체적인 사물의 재현도 없는 최소한의 담담한 형태들은 부가적인 서사의 배제를 통해 작가들이 공간에 대응하는 태도만을 부각한다.
아트선재센터의 2, 3층 전시장은 작가들의 작업의 재료로 제공된다. 각각 약 450㎡의 면적을 가진 2, 3층 전시장은 사분원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는 미술관이 설계되었을 당시의 대지의 모습을 따라 만들어진 것으로, 2015년까지 이 형태가 미술관의 로고에도 활용되었을 만큼 미술관의 상징이 되었다. 전시장 내부의 곡면을 따라 노출된 둥근 기둥들 역시 이 공간의 특징으로 1998년 미술관이 개관한 이래 지난 이십 년간 이곳에서 개최된 수많은 전시들은 항상 이 곡면과 기둥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졌다. 공간의 형태뿐 아니라, 미술관이라는 공간의 용도적 맥락과 지난 전시들의 기억 역시 이곳의 성격을 규정한다. 수많은 전시가 나타났다 사라졌던 겹겹의 경험, 그리고 작가들 각자에게 남아있는 이 공간을 경험했던 기억들은 개별 작업의 지지체로 작동하게 된다.
전시의 제목 《포인트 카운터 포인트》는 둘 이상의 독립적인 선율을 함께 배치하는 작곡법을 뜻하는 대위법(counterpoint)의 어원이 되는 구문으로 ‘점 대 점’, 즉 ‘음표 대 음표’를 뜻한다. 이 용어는 가능한 여러 대응의 관계들로 이뤄진 구조의 설명을 통해 전시를 독립적인 선율들의 병치로 읽는 감상의 경험을 설명하기 위해 가져왔다. 작업과 공간 사이, 작업과 작업 사이, 그리고 층과 층 사이에서 발생하는 참조, 반복, 전개의 과정들은 대위법이 작동할 때처럼 전시를 긴장과 리듬의 구조로 이끈다.

작품 소개

김민애, <소실선> (2018), <검은, 분홍 공>(2018)
김민애의 작업은 미술, 전시를 규정짓는 요소들을 질문하고 특히 건축적 공간의 맥락에서 조각, 설치를 통해 이 질문들과 미술, 전시가 충돌하는 지점을 찾는다. <소실선>은 작가가 과거의 작업에 사용했던 재료인 반투명의 임시구조물을 다시 가져온다. 이 구조물은 2014년 개인전 《검은, 분홍 공》(두산갤러리)와 2017년 전시 《오 친구들이여, 친구는 없구나》(아뜰리에 에르메스)에서 주어진 환경이자 조건에 대응하는 구조로서 역할하였다. 2014년에는 전시장의 내부에 다시 공간을 구성하는 사각의 벽으로, 2017년에는 미로의 구조로 활용되었던 이 반투명의 임시구조물은 아트선재센터의 가장 두드러진 공간적 특징을 반영하지만 벽의 기능을 상실한 채 낮은 울타리로, 선으로 잠기어 간다. 그러나 동시에, 조각으로서의 회복을 꿈꾼다.

오종, <방 드로잉(모노크롬) #4> (2018)
쇠막대, 실, 가느다란 쇠사슬, 아크릴 등을 주로 사용하는 오종의 작업 <방 드로잉(모노크롬) #4>는 공간에 그리는 드로잉이다. 그는 오랜 시간 공간을 바라보고, 그곳에서 발견되는 특징적인 요소들을 부각하면서 섬세하고 아슬하게 작업을 진행한다. 사용하는 재료의 속성으로 인해 멀리서 잘 눈에 띄지 않는 그의 설치는 가까이 다가가서 감상할 때 그 구체적인 면모를 드러내며, 선으로 나뉜 외부의 빈 덩어리들을 포함하면서 공간을 구축해 나간다.

이수성, <무제(Quarter Pipe)>(2018)
이수성은 작업하면서 마주치는 상황과 조건들을 기반으로 조각과 설치를 해왔다. 여기에는 작업이 소개되는 공간의 물리적 형태뿐 아니라, 전시 공간의 역사, 사회적 의미, 작업을 위한 노동과 제작 비용 등의 조건이 포함된다. <무제(Quarter Pipe)>는 미술관을 육면체로 만들기 위한 조각의 설계이다. 작가는 전시공간의 형태를 따라 접합했을 때 퍼즐이 맞춰지는 형태의 조각을 선택하고, 공간의 규모에 맞게 이를 조정한 모형을 제시한다. 전시장 2층에 자리 잡은 이 조각은 3층에서 한 번 더 반복되며, 2, 3층 각각의 공간 특성을 반영한다. 작가의 설계에 따르면 사분원 형태인 미술관 건물에 이 조각을 덧붙였을 때 건물은 육면체의 도형 또는 하나의 새로운 조각이 된다.

김동희, <볼륨: 타입 1, 2>(2018)
김동희의 작업은 공간의 건축적 요소를 참조하여 그 용도를 새롭게 발명한다. 작가는 지난해 개인전 《3 볼륨즈》(시청각, 2017)에서 공간을 조형하는 방법의 하나로 세 개의 레이어 즉, 세 가지 공간 설계의 도면을 겹쳐 여기에 부피를 부여했다. 이번 전시에도 공간에 특정한 레이어를 설정하고 여기에 부피를 더하는 같은 방법론을 사용한다. 작품 <볼륨: 타입 1, 2>는 전시장의 2층의 입구와 3층의 곡면에 설치된다. 2층은 전면 유리를 통해 들어오는 풍경과 빛을 활용하였고 일반적인 건물의 로비(lobby) 공간의 구성을 참조한다. 3층의 설치는 건물의 곡면을 따라 빛이 들어오는 전시장 천장 창문을 내부로 가져온다. 두 작업 모두 창을 활용하여 외부의 풍경과 빛을 내부로 끌어들이며, 작품에 용도와 기능을 부여한다. 2층은 실내 장식을, 3층은 건축의 외장을 참조하며 서로 대응 관계를 형성한다.

최고은, <화이트 홈 월>(2018)
최고은은 냉장고, 에어컨과 같은 가전제품의 외피를 절단하여 조각의 재료로 삼는다. 이 생활가전들은 사용한 시간만큼 자연히 변색한다. 작가는 이렇게 각기 달라진 앞, 뒷면의 색, 상품의 종류와 규격에 따라 결정된 특정한 크기 등을 재료의 조건으로 하고 이를 공간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한다. <화이트 홈 월>(2017)은 에어컨의 절단된 면을 특정한 규칙에 따라 도열함으로서 전시 공간을 다시 선과 면으로 나눈다. 가정에서 사용되었으나 이제 용도가 폐기된 이 사물들은 면의 형태와 고유의 색을 가진 추상적 화면 구성의 재료로 재탄생한다.

전시기간에 두 번의 연계 공연이 개최된다. 3월 17일 토요일 오후 5시에 열리는 류한길의 < SocioFrequency: [-1(1)]>는 소리를 듣는 행위가 시간과 공간에 대한 경험과 감각에 연결되는 것에 주목한다. 주어진 소리의 구성을 더 선명하게 하고 그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면 시간과 공간에 대한 경험과 사유가 더 풍부해질 것인지를 질문한다. 4월 7일 토요일 오후 5시에 진행되는 권병준의 <층간>은 두 개의 층으로 이뤄진 전시공간 중 첫 번째 층의 공간에 조응하는 소리를 또 다른 층에서 준비된 음향과 더불어 16개의 스피커를 이용한 3D 엠비소닉 시스템으로 새롭게 입체적으로 재구성하여 들려준다. 이 두 작업은 전시가 시도하는 공간과 조형의 관계에 대응하여 소리와 공간의 공명을 탐색하는 사운드 퍼포먼스이다.

작가소개
김동희 (b. 1986)
김동희는 서울에서 거주하며 활동하고 있다. 주로 환경의 변화와 그에 대응하는 방법을 수행적인 방식으로 접근해왔다. 최근에는 여러 공간들을 탐색하고 그 공간에 불특정한 사건들을 발생시켰다. 일시적인 공간을 기점으로 통과하고 연결되는 사건들에 중점을 둔다. «프리홈 프로젝트»(2011–2014), «6–3반»(2012), «나열된 계층의 집 (2014), «오페라 코스트»(2015–2016), «23층»(2016), «아시바비젼»(2016), «웨스트 웨어하우스»(2016) 등의 일시적 부유 공간을 기획/운영 하였고, 시청각에서 개인전 «3 Volumes» (2017)를 열었다.

김민애 (b. 1981)
김민애는 조각과 설치를 통해 자기 고백적 이야기를 외부의 공간과 사회로 확장하며, 익숙한 환경 혹은 제도 안팎에서 겪는 모순과 부조리에 대해 질문한다. 대학에서 조소를 전공하였고, «조건부 드로잉» (두산갤러리 뉴욕, 2015), «검은, 분홍 공» (두산갤러리 서울, 2014), «습관에 관한 소고» (하다컨템포러리, 런던 2013), «익명풍경» (관훈갤러리, 서울 2008) 등의 개인전을 가졌다. 현재 서울에서 활동하고 있다.

오종 (b. 1981)
오종은 실내 공간을 기반으로 장소 특정적인 설치 작업을 한다. 실, 나무 막대, 쇠막대, 낚싯줄, 연필선 등 매우 단순하고 선적인 재료들을 이용하여 공간에 즉흥적으로 반응하는 건축적인 구조물을 설치한다. 공간은 작품의 크기, 모양, 한계를 결정하고, 작품은 제한된 공간 안에서 조심스럽게 구축된다. 중력, 빛, 그림자도 작업의 필수적인 요소들이다. 아슬아슬하게 균형 잡은 오브제들과 허공을 가로지르는 실의 장력은 전시 공간의 팽팽한 긴장감을 조성한다. 오종은 홍익대학교 조소과에서 학사와 뉴욕 스쿨오브비주얼아트에서 석사를 마쳤다. 마크스트라우스 갤러리(뉴욕), 요한헴펠 갤러리(베를린), 마르소 갤러리(멕시코 시티), 사브리나암라니 갤러리(마드리드) 등에서 개인전을 개최하였고, 브릭(뉴욕), 갤러리 팩토리(서울), 워싱턴 문화원(워싱턴 디시), 두산 갤러리(뉴욕) 등 다수의 그룹전에 참여했다.

이수성 (b. 1985)
이수성은 1985년 성남에서 태어났다. 설치와 조각 작업으로 서울에서 활동한다. 개인전 «Bachelor Party» (시청각, 2014) 및 기획전 «여덟 작업, 작가소장» (시청각, 2017), «막후극» (인사미술공간, 2015), «랜덤 액세스» (백남준아트센터, 2015), «4회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 (안양, 2013), «이상X뒤샹» (한국현대문학관, 2013), «끈질긴 후렴» (백남준아트센터, 2013), «픽션워크» (국립현대미술관, 2012) 등에 참여했다. 2013년부터 비유유피라는 이름으로 전시디자인을 부업으로 하고있다.

최고은 (b. 1985)
서울대학교 및 동대학원 조소과를 졸업했다. 개인전 «TORSO» (김종영미술관, 2016)를 진행했다. «두 번째» (ONE & J. +1, 2018), 2017 서울 포커스 «25.7» (서울시립미술관 북서울, 2017), «LOTUS LAND» (국립아시아문화전당, 2017), «사물들: 조각적 시도» (두산갤러리 서울, 2017), «SILKY NAVY SKIN» (인사미술공간, 2016) 등에 참여했다.

전시 연계 퍼포먼스
류한길 <SocioFrequency : [-1(1)]>
2018. 3. 17 (토) 17:00
아트선재센터 2F, 3F

권병준 <층간>
2018. 4. 7 (토) 17:00
아트선재센터 2F, 3F

포인트 카운터 포인트 도록 
김해주, 전효경, 조은비의 글이 수록되어 있다. 

기간
2018. 3. 3 – 4. 8.
참여작가
김동희, 김민애, 오종, 이수성, 최고은
주최
아트선재센터
기획
김해주(아트선재센터 부관장)